티스토리 뷰
전세자금대출은 많은 사람들에게 주거 안정을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. 2025년 기준으로 전세자금대출 조건이 크게 변화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전세자금대출 조건과 혜택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2025년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조건
신혼부부를 위한 전세자금대출은 2025년에 더욱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되었습니다.
자격 요건
- 혼인 기간: 7년 이내 (일부 기관은 5년으로 제한)
- 소득 기준: 부부 합산 연소득 8,000만원 이하
- 주택 소유 여부: 무주택자 (소형 저가 주택 1채 보유 시 예외 인정)
- 신용 점수: 600점 이상 (기관별 상이)
- 연령: 만 19세 이상
대출 한도 및 금리
- 대출 한도: 최대 2억원 또는 전세보증금의 80% 중 낮은 금액
- 금리: 최저 2.0%에서 최고 3.1% (소득에 따라 차등)
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
청년층을 위한 '청년버팀목전세대출'도 2025년에 개선된 조건으로 제공됩니다.
대상 및 한도
- 연령: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
- 소득: 연소득 7.5천만원 이하
- 대출 한도: 2억원 (만 25세 미만 단독 세대주는 1.5억원)
금리 혜택
- 기본 금리: 연 2.0% ~ 3.1%
- 우대 금리: 최대 1.0%p 추가 인하 가능
소득 구간 | 기본 금리 |
2천만원 이하 | 2.0% |
2천만원 초과 ~ 4천만원 이하 | 2.3% |
4천만원 초과 ~ 6천만원 이하 | 2.7% |
6천만원 초과 ~ 7.5천만원 이하 | 3.1% |
신생아 특례 전세자금대출

2025년부터는 신생아 가정을 위한 특별 전세자금대출 제도가 확대되었습니다.
주요 조건
- 대상: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
- 소득 기준: 부부합산 연소득 2.5억원 이하 (2025년 기준 상향)
- 자산 기준: 순자산 가액 3.37억원 이하
대출 내용
- 한도: 최대 3억원 또는 전세금액의 80% 중 낮은 금액
- 대상 주택: 전용면적 85m² 이하
- 임차보증금 한도: 수도권 5억원, 그 외 지역 4억원
은행별 전세자금대출 비교
2025년 주요 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조건이 완화되었습니다.전세자금대출을 고려하실 때는 각 은행의 구체적인 조건과 본인의 상황을 비교하여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, 금리와 조건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실제 대출 신청 시 해당 은행에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은행 | 상품명 | 대출 한도 | 금리 | 특징 |
국민은행 | KB전세자금대출 | 최대 2억원 | 3.85% ~ 5.25% | 우대금리 적용 가능 |
우리은행 | 우리전세자금대출 | 최대 2.5억원 | 3.95% ~ 5.35% | 비대면 대출 중단 해제, 신용등급 영향 큼 |
신한은행 | 신한전세자금대출 | 최대 2억원 | 4.20% ~ 5.50% | 대출 한도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, 전세대출 재개 |
하나은행 | 하나전세자금대출 | 최대 2억원 | 3.80% ~ 5.10% | 비대면 주택담보 및 전세자금대출 상품 재출시, 금리 할인 이벤트 |
농협은행 | NH전세대출 | 최대 2억원 | 3.42% ~ |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 상품, 최저금리로 1위 |
수협은행 | 수협전세자금대출 | 최대 2억원 | 3.85% ~ | 비교적 낮은 금리 |
경남은행 | 경남전세자금대출 | 최대 2억원 | 3.85% ~ | 수협은행과 동일한 최저금리 |
전세자금대출 신청 시 주의사항
- 소득 증빙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세요.
- LTV, DTI 등 대출 한도 산정 기준을 미리 확인하세요.
- 은행별 금리와 조건을 꼼꼼히 비교하세요.
- 전자계약 체결 시 추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대출 상환 계획을 미리 세우세요.
2025년 전세자금대출은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조건이 개선되었습니다. 신혼부부, 청년, 신생아 가정 등 각 상황에 맞는 최적의 대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,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세요.